2019 문화예술교육사 지원사업 (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 프로그램 1~4차시)
1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차시
* 교육 주제: 마음 열기, 목표 세우기, 규칙 정하기
* 교육 목표
1) 자기소개를 통해 서로 알아가고 마음의 경계를 허문다.
2)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얻어가고자 하는 목표를 세운다.
3) 연극의 4요소를 연극놀이를 통해 알아본다.?
* 교육 재료: 포스트잇, 탱탱볼, 편지지, 필기도구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
1. 강사 소개 및 수업 오리엔테이션
2. 규칙 정하기: 포스트잇에 학생들이 원하는 규칙들을 적어 붙혀 수업 안에서의 규칙 정하기
- 본 활동
1. 당신의 이웃을 사랑하십니까?
2. 이름 배구: 내 이름으로 전달, 상대방의 이름으로 전달
3. 편지지 활동: 나의 활동의 유래, 이름으로 삼행시를 지어 발표하기, 느린 우체통(이 수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내용과 함께 이번 학기의 목표를 담은 편지를 쓴다.)
4.?좋아하는 것 말하기: 나의 이름과 좋아하는 음식을 말한다, 옆 사람의 이름과 좋아하는 음식을? 말한다.?
- 마무리
1. 수업을 통해 느낀 점 나누기
2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2차시
* 교육 주제: 표현하기, 감각훈련, 이야기 만나기
* 교육 목표
1. 함께 토의하고 하나의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협동심을 높인다.
2. 무대 공간을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으며, 청각적 신호와 놀이 를 통해 집중력을 키운다.
* 교육 재료: 마스킹테이프, 연극노트, 필기구, 종이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
1. 과일 샐러드 게임
2. 공간속의 몸, 행동 어이가기: 신호등 걷기, 공간을 상상하며 걷기, 움직임 따라가기
3. 상상력 신발: 무대 공간을 만들어 설명, 자연스럽게 걸으며 공간 이동과 명칭 이해
- 본 활동
1. 신분 나눠 행동하기: 신분이 써진 종이를 각 각 뽑아 그 신분대로 행동 한다(양반, 중인, 상민, 천민)
2. 조운 제도에 대한 설명
3. 문제 상황 만나기: 모두가 조선 대신이 된 상황에서 손돌목에서 매번 침몰하는 세곡선이 무사히 한양에 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의 대책을 논의하고, 그 대책을 정지장면으로 표현하게 한다.
3. 문제 상황만나기: 모두가 조선 대신이 된 상황에서 손돌목에서 매번 침몰하는 세곡선이 무사히 한양에 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의 대책을 논의하고, 그 대책을 정지장면으로 표현하게 한다.
4. 조별 발표: 대책 정지장면 발표
- 마무리
1. 수업을 통해 느낀 점 나누기
2. 다음 주까지 배포한 자료를 읽어오라고 공지
3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3차시
* 교육 주제: 표현하기, 이야기 탐색하기, 이야기 만들기
* 교육 목표
1. 무대 위에서의 자세를 바르게 만들어본다.
2. 지난 시간의 이야기를 기억하고 앞으로의 연극 속 이야기를 쉽게 이해 하는 것을 돕는다.
3. 이야기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연극으로 만들 수 있다.
4. 연극, 미술, 영상을 통합하는 융합수업을 할 수 있다.
* 교육 재료: 스케치북, 4절지, 색연필, 사인펜, 매직, 연극노트, 필기구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
1. 기본 발음연습:? 바른 자세를 잡아보고 스스로 바른 자세를 알아갈 수 있게 한다, 바른 자세로 서 있으면서 자음, 모음 종이를 보고 읽어본다
2. 몸으로 표현하기: 단어들을 몸으로 표현한다.
3. 연극을 만들 때 필요한 기본 이야기 읽기: 지난 시간에 나눠주었던 페이 퍼를 함께 읽어보면서 내용을 숙지하는 시간을 가진다.
.
- 본 활동
1. 팀별 스터디: 2인1조의 18명 9개의 조를 먼저 편성한 다음 이 각 조를 A(원통이 고개), B(무네미 고개), C(안하지 고개) 세 팀으로 나눠 각 고개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(내용 숙지에 시간)
2. 조별 그림 그리기: 내용 숙지 후 2인 1조로 각 각 맡은 고개의 이야기를 자신들의 생각대로 그려본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