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 문화예술교육사 지원사업 (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 프로그램 13~17차시)
1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3차시
* 교육주제: 편집 어플을 이용한 편집 “스마트하게 편집하기”
* 교육목표
1) 편집이 무엇인지 안다.
2)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한 편집을 해볼 수 있다.
3)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신감 있게 말할 수 있다.
* 교육재료: 노트북, 프로젝터, 스피커, 태블릿(스마트폰), 촬영본, ppt
* 교육세부내용
- 도입
? 스토리를 가진 한 편의 영상이 되려면?
1. ok 촬영본을 보고 불필요한 부분을 찾아본다.
2. 촬영된 영상과 편집된 영화의 한 씬을 비교하며 편집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.
? 스마트폰 편집앱 키네마스터 설치 및 사용법 알기
1. 편집이란?
2. 편집 어플 키네마스터의 편집툴 및 사용방법을 알아본다.
- 본 활동
? 카카오 단체채팅방에서 촬영본 다운로드 하기
?키네마스터 설치 및 개별 편집 (S#1. 방 보는 천민)
- 마무리
? 편집완성본 단체채팅방에 업로드
? 편집완성본을 보며 소감 나누기
1. 편집과정에서의 어려움, 느낀 점, 잘된 점 등 다양한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.
2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4차시
* 교육주제: 동선정리
* 교육목표
1) 대본을 토대로 동선을 정리하여 연극 작품을 만든다.
2) 무대, 조명, 의상, 소품, 음향 관련 내용을 체크한다.
* 교육재료: 대본, 연극노트, 필기구, 소품(우유박스, 소쿠리, 곡괭이, 술병, 술잔, 벽서, 금덩어리)
* 교육세부내용
- 도입: 발성과 발음 연습
- 본 활동: 장면별 동선 정리, 동선 정리에 따른 자신의 위치 체크
- 마무리: 연극 노트 작성
3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5차시
* 교육주제: 연극 리허설
* 교육목표
1) 공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순발력을
기른다.
2) 공연 예행연습(Run Through)을 통해 분야별 각자의 위치에서 점검한다.
* 교육재료: 대본, 연극노트, 필기구, 소품(우유박스, 소쿠리, 곡괭이, 술병, 술잔, 벽서, 금덩어리)
* 교육세부내용
- 도입: 발성과 발음 연습
- 본 활동
1. 공연 예행연습(Run Through)
2. 분야별 각자의 위치에서 해야 할 일들을 되새기고 점검한다.
- 마무리: 연극 노트 작성
4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6차시
* 교육주제: 공연 진행
* 교육목표
1) 공연 최종 리허설을 통해 최종적인 점검을 한다.
2) 본 공연을 진행하고 각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한다.
* 교육재료: 대본, 연극노트, 필기구, 소품(우유박스, 소쿠리, 곡괭이,
술병, 술잔, 벽서, 금덩어리),
의상
* 교육세부내용
- 도입: 테크 리허설 및 본 공연 전 최종 리허설 진행
- 본 활동 : 본 공연 진행
- 마무리: 공연 소감 공유
5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7차시
* 교육주제: 전체 수업 마무리
* 교육목표: 그 동안의 수업에 대한 소감 나누기를 통해 수업을 전체적으로 마무리한다.
* 교육재료: 가면, 매직, 사인펜, 크레파스, A4용지
* 교육세부내용
- 도입: 지난 공연에 대한 소감을 나눈다.
- 본 활동 : 가면을 가지고 수업 시작과 끝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한다.
- 마무리: 전체적인 수업에 대한 소감을 나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