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 문화예술교육사 지원사업 (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 프로그램 9~12차시)
* 교육 주제: 대본읽기 및 제작준비
* 교육 목표
1) 극의 흐름을 이해하고 정확한 발음으로 크게 소리내어 읽은 후 막별,
장별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작품을 접근한다.
2) 무대, 조명, 의상, 소품, 음향 디자인을 위한 계획서를 작성한다.
* 교육 재료: 필기도고, 연극노트, A4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: 기본 이론 및 발성과 발음 연습
1. 구강구조의 발음, 인물관계도, 서브텍스트에 관한 이론 설명
2. 발성, 발음 연습
- 본 활동
1. 대본 드라이 리딩 진행
2. 스텝팀, 배우팀 나눠서 스텝팀은 각자의 역할대로 대본에서 구성,
배우팀은 장면 분석(심화적으로) 진행
- 마무리
1. 연극 노트 작성
*
교육 주제: 쇼트로 말하는 스토리
* 교육 목표
1) 프레임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.
2) 쇼트의 개념과 종류를 알고 스토리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.
3) 촬영 시 다양한 역할을 알 수 있다.
* 교육 재료: 노트북, 프로젝터, 스피커, 테블릿피시, 트라이포드, 홀더, 대본, 미션카드,
스토리보드 활동지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
? 한 장의 사진으로 강사 소개하기:
나를 잘 보여줄 수 있는 사진 한 장으로 나를 소개한다.
- 본 활동
? 영상에서의 프레임이란?
? 쇼트란?
1. 쇼트의 개념을 소개한다.
2. 다양한 쇼트의 종류를 안다. (영상예시)
3. 쇼트대로 촬영하려면?
? 미션! 대상을 프레임 하라!
1. 3인 1팀을 구성한다.
2. 미션 카드에 맞는 쇼트를 생각해보고 팀별 사진촬영 한다.
3. 사진을 오픈 채팅방에 공유한다.
4. 팀별 미션을 공개하고 쇼트선정 이유를 설명한다.
? 스토리를 프레임 하라! (팀별 사진스토리보드: 3팀)
1. 우리가 만든 희곡 <홍연: 붉은 인연, 다르지만 같은 이야기> 속 영상화할 부분을 확인한다.
2. 스토리보드 만들기
·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어떻게 표현했을까? (영상예시)
· 영상화할 부분을 쇼트로 장면화 해본다.
- 마무리
? 다음 차시를 위한 준비
1. 사진스토리보드 선정
2. 촬영 시 역할을 나눈다: 감독 및 촬영, 연기, 슬레이트
* 교육 주제: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“촬영은 약속이다.”
* 교육 목표
1) 스토리보드의 쇼트대로 촬영할 수 있다.
2) 촬영신호 및 순서를 알 수 있다.
3) 협업할 수 있다.
* 교육 재료: 태블릿(스마트폰), 트라이포드, 홀더, 스토리보드, 슬레이트, 마카펜,
우유박스, 의상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
? 촬영 시 자신의 역할 확인하기
? 촬영을 위한 배우 분장
? 촬영스태프의 역할 및 신호 알기
? 슬레이트 사용법 알기
- 본 활동
? 촬영 장소로 이동
? 촬영
1. 연기리허설:
감독은 촬영할 컷을 확인하고 배우들의 연기 및 동선을 지도한다.
2. 카메라 포지션 결정
· 촬영자는 스토리보드를 보고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위치를 결정한다.
· 감독은 카메라 모니터를 확인한다.
3. 촬영:
촬영 신호와 순서에 따라 촬영을 진행한다.
- 마무리
? 기자재 정리 및 소감 나누기
? 다음 차시 활동 내용 확인하기
1. 사진스토리보드 선정
2. 촬영 시 역할을 나눈다:
감독 및 촬영, 연기, 슬레이트
* 교육 주제: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“촬영은 약속이다.”
* 교육 목표
1) 화면의 구성요소를 알고 안정적인 구도로 촬영할 수 있다.
2) 촬영신호 및 순서를 알 수 있다.
3) 협업할 수 있다.
* 교육 재료: 태블릿(스마트폰), 트라이포드, 홀더, 스토리보드, 슬레이트, 마카펜,
우유박스, 의상
* 교육 세부내용
- 도입
? 촬영 시 자신의 역할 확인하기
? 촬영을 위한 배우 분장
? 촬영스태프의 역할 및 신호 알기
? 슬레이트 사용법 알기
- 본 활동
? 촬영 장소로 이동
? 촬영 (S#2 노역하는 천민들 촬영)
1. 연기리허설:
감독은 촬영할 컷을 확인하고 배우들의 연기 및 동선을 지도한다.
2. 카메라 포지션 결정
· 촬영자는 배우들의 정해진 동선을 확인하고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위치를
결정한다.
· 감독은 카메라 모니터를 확인한다.
3. 촬영: 촬영 신호와 순서에 따라 촬영을 진행한다.
? 화면의 구성요소 알기:
안정적 구도로 촬영하기 위한 3등분할, 삼각형 구도,
선을 이용한 구도,
깊이 등을 고려한 촬영을 계획한다.
? 굴포천 풍경 스케치 촬영: 3
인 1팀을 이루어 팀별 스케치 촬영을 진행한다.
- 마무리
? 분장 지우기, 기자재 정리 및 소감 나누기
? 다음 차시 활동 내용 확인하기: 편집 어플을 활용한 동영상 편집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