콘텐츠 바로가기

부평문화원

전체메뉴

콘텐츠

문화예술교육사업

  1. HOME
  2. 문화원사업
  3. 문화예술교육사업

2019 문화예술교육사 지원사업 (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 프로그램 9~12차시)

1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9차시

* 교육 주제: 대본읽기 및 제작준비

* 교육 목표

1) 극의 흐름을 이해하고 정확한 발음으로 크게 소리내어 읽은 후 막별,

장별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작품을 접근한다.

2) 무대, 조명, 의상, 소품, 음향 디자인을 위한 계획서를 작성한다.

* 교육 재료: 필기도고, 연극노트, A4

* 교육 세부내용

- 도입: 기본 이론 및 발성과 발음 연습

1. 구강구조의 발음, 인물관계도, 서브텍스트에 관한 이론 설명

2. 발성, 발음 연습

- 본 활동

1. 대본 드라이 리딩 진행

2. 스텝팀, 배우팀 나눠서 스텝팀은 각자의 역할대로 대본에서 구성,

배우팀은 장면 분석(심화적으로) 진행

- 마무리

1. 연극 노트 작성




2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0차시

*

교육 주제: 쇼트로 말하는 스토리

* 교육 목표

1) 프레임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.

2) 쇼트의 개념과 종류를 알고 스토리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.

3) 촬영 시 다양한 역할을 알 수 있다.

* 교육 재료: 노트북, 프로젝터, 스피커, 테블릿피시, 트라이포드, 홀더, 대본, 미션카드,

스토리보드 활동지

* 교육 세부내용

- 도입

? 한 장의 사진으로 강사 소개하기:

나를 잘 보여줄 수 있는 사진 한 장으로 나를 소개한다.

- 본 활동

? 영상에서의 프레임이란?

? 쇼트란?

1. 쇼트의 개념을 소개한다.

2. 다양한 쇼트의 종류를 안다. (영상예시)

3. 쇼트대로 촬영하려면?

? 미션! 대상을 프레임 하라!

1. 31팀을 구성한다.

2. 미션 카드에 맞는 쇼트를 생각해보고 팀별 사진촬영 한다.

3. 사진을 오픈 채팅방에 공유한다.

4. 팀별 미션을 공개하고 쇼트선정 이유를 설명한다.

? 스토리를 프레임 하라! (팀별 사진스토리보드: 3)

1. 우리가 만든 희곡 <홍연: 붉은 인연, 다르지만 같은 이야기> 속 영상화할 부분을 확인한다.

2. 스토리보드 만들기

·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어떻게 표현했을까? (영상예시)

· 영상화할 부분을 쇼트로 장면화 해본다.

- 마무리

? 다음 차시를 위한 준비

1. 사진스토리보드 선정

2. 촬영 시 역할을 나눈다: 감독 및 촬영, 연기, 슬레이트

 



3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1차시

* 교육 주제: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촬영은 약속이다.”

* 교육 목표

1) 스토리보드의 쇼트대로 촬영할 수 있다.

2) 촬영신호 및 순서를 알 수 있다.

3) 협업할 수 있다.

* 교육 재료: 태블릿(스마트폰), 트라이포드, 홀더, 스토리보드, 슬레이트, 마카펜,

우유박스, 의상

* 교육 세부내용

- 도입

? 촬영 시 자신의 역할 확인하기

? 촬영을 위한 배우 분장

? 촬영스태프의 역할 및 신호 알기

? 슬레이트 사용법 알기

- 본 활동

? 촬영 장소로 이동

? 촬영

1. 연기리허설:

감독은 촬영할 컷을 확인하고 배우들의 연기 및 동선을 지도한다.

2. 카메라 포지션 결정

· 촬영자는 스토리보드를 보고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위치를 결정한다.

· 감독은 카메라 모니터를 확인한다.

3. 촬영:

촬영 신호와 순서에 따라 촬영을 진행한다.

- 마무리

? 기자재 정리 및 소감 나누기

? 다음 차시 활동 내용 확인하기

1. 사진스토리보드 선정

2. 촬영 시 역할을 나눈다:

감독 및 촬영, 연기, 슬레이트




4. <연극과 영상으로 부평을 바라보다> 12차시

* 교육 주제: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촬영은 약속이다.”

* 교육 목표

1) 화면의 구성요소를 알고 안정적인 구도로 촬영할 수 있다.

2) 촬영신호 및 순서를 알 수 있다.

3) 협업할 수 있다.

* 교육 재료: 태블릿(스마트폰), 트라이포드, 홀더, 스토리보드, 슬레이트, 마카펜,

우유박스, 의상

* 교육 세부내용

- 도입

? 촬영 시 자신의 역할 확인하기

? 촬영을 위한 배우 분장

? 촬영스태프의 역할 및 신호 알기

? 슬레이트 사용법 알기

- 본 활동

? 촬영 장소로 이동

? 촬영 (S#2 노역하는 천민들 촬영)

1. 연기리허설:

감독은 촬영할 컷을 확인하고 배우들의 연기 및 동선을 지도한다.

2. 카메라 포지션 결정

· 촬영자는 배우들의 정해진 동선을 확인하고 정해진 쇼트대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위치를

결정한다.

· 감독은 카메라 모니터를 확인한다.

3. 촬영: 촬영 신호와 순서에 따라 촬영을 진행한다.

? 화면의 구성요소 알기:

안정적 구도로 촬영하기 위한 3등분할, 삼각형 구도,

선을 이용한 구도,

깊이 등을 고려한 촬영을 계획한다.

? 굴포천 풍경 스케치 촬영: 3

1팀을 이루어 팀별 스케치 촬영을 진행한다.

- 마무리

? 분장 지우기, 기자재 정리 및 소감 나누기

? 다음 차시 활동 내용 확인하기: 편집 어플을 활용한 동영상 편집하기

 

목록

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- 출처표시

TOP